728x90
반응형
- 연구노트란?
[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] 제 2조 제4호에 따르면, 연구노트란 연구개발과제 수행을 통해 얻은 정보, 데이터 및 노하우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자료를 말한다.
연구노트는 전자연구노트, 서면연구노트 외 음성, 영상 등 다양한 형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.
- 연구노트의 기능
연구노트의 기능을 살펴보자면,
- 개인적 측면으로는 과거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그 안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자 할 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, 효율적인 연구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과거 실험을 재현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.
- 기관 및 연구실 측면으로는 연구실의 지식과 노하우를 전수하고 연구의 계속성을 유지하는 것 그리고 연구 진도 관리를 위한 기능이 있다.
- 연구노트의 제작형태 및 내지 구성
- 연구노트는 삽입이나 삭제가 어렵도록 제본된 묶음노트 형태여야 한다.
- 내지의 구성
1) 미리 인쇄된 페이지 번호
2) 실험제목
3) 실험목적
4) 연구내용
5) 기록자 및 확인자의 날짜 및 서명란
- 연구노트의 작성내용
- 연구의 착상, 목적, 방법에 대해 작성하고 예상되는 결과에 대해 기록한다. 모든 실험의 절차에는 가설과 목표가 정확하게 세워져 있어야 하고, 실험방식이나 다른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출처를 기재한다.
- 연구 및 실험에 사용된 재료(원료, 성분), 장비(회사명, 모델번호), 측정조건(온도, 시료상태, 파장 등등) 등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작성한다.
- 실험방법은 구체적으로 작성하며 세부적인 사항들도 빠짐없이 기록한다.
- 실험진행과정을 기록할 때에는 그 자리에서 바로 작성하며, 주관적인 표현은 하지 않는다.
- 실험데이터의 해석및 결과에 대해 내린 결론을 작성하여 이후 재 실험여부, 실험의 변경, 다음 실험 디자인, 실험종료, 중지 등은 다음 실험 방향에 반영한다.
- 고찰의 경우 실험 중 떠오른 생각이나 의문점, 실험을 통해 이해한 사실, 추후 검토해야 하는 일, 밝혀진 사실 및 실험 시 문제점등 관련 내용을 상세히 기록한다.
- 연구노트 양식 예시
1. 실험제목
2. 실험목적
3. 실험적용원리
4. 실험방법
5. 결과
6. 결론
7. 참고문헌
8. 기록자 및 기록일자, 확인자 및 확인일자
** 연구노트와 관련된 작성 정보는 [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작성 매뉴얼, 2022.06]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. **
반응형
'생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rimer design (프라이머 디자인) (0) | 2025.04.16 |
---|---|
PCR (Polymerase Chain Reaction) ; 중합효소연쇄반응 원리 (0) | 2025.04.16 |
NCBI ; FASTA 형식 (0) | 2021.12.28 |
댓글